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spring boot mybatis
- spring camp
- 스프링 부트
- devtools
- Multi DataSource
- WebApplicationInitializer
- OAuth 2.0
- mybatis
- Spring MVC
- 스프링시큐리티
- 인텔리J
- spring boot devtools
- 스프링
- spring security
- spring boot 1.3
- elasticache
- ServletContextInitializer
- Spring Boot
- spring test mvc
- apache thrift
- OAuth2.0
- @MVC
- spring cloud
- spring
- 데브툴즈
- spring cloud config
- Spring Security OAuth
- spring-mybatis
- KSUG
- Fiilter
- Today
- Total
홍이의 개발 노트
스프링 3.1 업데이트 정보를 계속 보기 위해 소스 레파지토리를 찾았다. https://src.springsource.org/svn/spring-framework/ 이 주소로 SVN에 등록하여 소스를 확인 해보면 된다. Github로 변경 되었다.알다시피 http://github.com/SpringSource/spring-framework. 주소로 이동 되었으며 $ git clone http://github.com/SpringSource/spring-framework 형태로 소스를 받을 수 있다.
@MVC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궁금 해서 소스를 보고 있는 중에 매개변수 타입에 따라 리턴 되는 객체를 컨트롤 하는 부분을 찾았다. AnnotationMethodHandlerAdapter 클래스 파일 안에 ServletHandlerMethodInvoker 이라는 클래스 안에서 resolveStandardArgument의 이 메소드 안에서 이부분을 찾았다. @Override protected Object resolveStandardArgument(Class parameterType, NativeWebRequest webRequest) throws Exception { HttpServletRequest request = webRequest.getNativeRequest(HttpServletRequest.cla..
편의상 반말을 사용 하겠습니다. 보통 서블릿 필터를 등록 할 때에는 필터 내부에서는 스프링 빈을 주입 받지 못해 많이 불편하다. 그래서 스프링에서 필터를 지원 해주는 클래스가 존재 하는데 그 클래스가 DelegatingFilterProxy 라는 클래스 이다. 보통을 그냥 서블릿 필터를 등록해서 사용하면되나 문제는 Spring security 프레임워크를 사용 시에는 필수 사용 하게되게된다. springSecurityFilterChain org.springframework.web.filter.DelegatingFilterProxy springSecurityFilterChain /*